키옥시아 눈덩이 손실…하이닉스의 딜레마

키옥시아 눈덩이 손실…하이닉스의 딜레마



버티기냐 출구 전략이냐

일본 낸드플래시(낸드) 제조 기업 키옥시아 실적 악화로 이 회사에 투자한 SK하이닉스 고민이 깊다. 2018년 SK하이닉스는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탈이 주도하는 한미일 컨소시엄으로 키옥시아에 약 4조원을 투자했다. 기대와 달리, 키옥시아가 조(兆) 단위 손실을 기록하면서 SK하이닉스 영업외손실은 눈덩이처럼 커졌다. 최근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 간 합병 재개 움직임도 SK하이닉스는 달갑지 않다. 합병 후 키옥시아가 낸드 시장에서 SK하이닉스 시장 지위를 위협하는 존재가 될 수 있어서다.

키옥시아 눈덩이 손실…하이닉스의 딜레마 [BUSINESS]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니케이)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키옥시아는 일본 회계연도 시작 월인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2540억엔(약 2조3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번 적자 규모는 키옥시아 전신 도시바메모리사업부 발족 후 17년 만에 가장 큰 규모라고 니케이는 전했다. 니케이는 적자 원인으로 스마트폰·PC용 낸드 수요 부진을 지목했다. 키옥시아는 과거 일본 반도체 기업 도시바메모리코퍼레이션이 전신이다.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메모리에 데이터가 계속 저장되는 플래시메모리의 일종인 낸드가 주력 제품이다. 세계 낸드 시장점유율 2위다.

키옥시아 부진은 SK하이닉스 실적에 큰 부담을 준다. 키옥시아 실적 저조로 지난해 4분기 SK하이닉스의 키옥시아 투자자산 평가손실은 1조4300억원에 달했다. 이 기간 SK하이닉스 전체 영업외손실(-2조2200억원)의 절반 이상이 키옥시아 투자자산 평가손실에서 초래됐다. SK하이닉스는 2022년에도 낸드 업황 침체에 따른 키옥시아 실적 악화로 1조883억원의 평가손실을 냈다. 투자 지분 재평가는 실제 현금 유출입과는 무관하지만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키옥시아 투자 자산 평가손실이 영업외 일회성 손실로 반영되면서 SK하이닉스는 2023년 4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순손실을 이어갔다.

최종 감사 과정에서 평가손실 규모가 달라질 가능성은 있다. 투자 구조가 복잡하고 투자 자산 규모와 비중이 커 SK하이닉스도 키옥시아홀딩스 투자 자산에 대한 가치 측정을 직접 하지 않는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삼일회계법인은 SK하이닉스 핵심감사사항(KAM)으로 ‘키옥시아홀딩스코퍼레이션(키옥시아홀딩스) 투자 관련 금융 자산의 공정가치 평가’를 적시했다. 키옥시아홀딩스 가격의 적정성과 도출 과정의 합리성 등을 중점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문제는 단기간 키옥시아 실적 반등을 기대하기 난망하다는 데 있다. 키옥시아는 2022년 3분기부터 흑자를 내지 못하고 있다. 2022년 4분기 1714억엔(약 1조5600억원)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지난해 1·2분기에도 대규모 손실을 냈다. 시장점유율도 하락세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키옥시아는 지난해 3분기 점유율 14.5%로 낸드 3위 자리를 웨스턴디지털에 내줬다.

……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592111?od=T31&po=0&category=0&groupCd=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