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닫는 VC…유니콘 등용문 ‘바늘구멍’

지갑 닫는 VC…유니콘 등용문 ‘바늘구멍’




글로벌 유니콘 데뷔 확 줄었다

작년 100곳…1년새 71% 줄어

국내 신규 유니콘도 반토막

28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신규 유니콘 기업은 100개로 집계됐다. 1년 전(348개)보다 71.2% 줄었다. 피치북은 기업가치 10억달러(약 1조3375억원) 이상 비상장사를 유니콘 기업 기준으로 삼고 있다. 글로벌 신규 유니콘 기업은 2021년 622개까지 증가했다가 2022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

피치북은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하락했고 VC는 새로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VC업계의 투자 감소가 핵심 요인이라는 얘기다. 유니콘 기업이 가장 많이 나온 미국은 지난해 스타트업 투자금이 1706억달러(약 228조1775억원)로 1년 전보다 30% 가까이 줄었다.

국내도 사정이 비슷하다. 벤처투자 정보업체 더브이씨에 따르면 지난해 유니콘 기업 목록에 새로 이름을 올린 곳은 크림, 에이피알, 아크미디어 등 세 곳으로 추정된다. 크림은 네이버 손자회사로 패션 제품 중고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이피알은 뷰티테크 기업이고, 아크미디어는 드라마 영상 콘텐츠 제작사다. 2021년과 2022년 국내 신규 유니콘 기업은 각각 7개였다. 국내에서는 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를 유니콘 기업으로 부른다.


지난해 국내 벤처투자액, 5.3조원으로 전년 52% 급감

기존 유니콘들도 좌불안석

세계 최초로 음악 저작권을 조각 투자 방식으로 거래하는 플랫폼을 만든 뮤직카우. 2022년 초만 해도 1년 안에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투자금을 추가로 확보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8000억원대에서 6000억원대로 떨어졌다. 그런데도 이 업체는 “벤처 혹한기에 600억원이나 투자받았다”는 얘기를 들었다.

28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새로운 유니콘기업이 나오는 것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최근 국내 신규 유니콘기업 증가 폭이 크게 떨어진 것은 투자 감소 영향이 크다.



유니콘기업에 근접한 곳도 이전보다 기업가치를 낮춰야 투자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수백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는 일부 유니콘기업은 최근 VC와 추가 투자를 논의하면서 기업가치를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원조 유니콘기업으로 꼽히는 야놀자, 직방 등은 매출 감소로 지난해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기도 했다.

VC업계는 국내 시장을 타깃으로 삼는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몸값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의 규모와 경기 등을 감안할 때 메가톤급 스타트업이 등장하기는 어렵다”며 “글로벌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곳에만 자금이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555821?od=T31&po=0&category=0&groupCd=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