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후기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8466853
입니다.
2차 후기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8501673
CLIEN
입니다.
3차는 모노모노 후기 입니다.
2차에서 샤오미 미 TV 박스 S – AIYIMA 6A2 진공관 프리앰프 – AIYIMA A07 MAX – F109
이렇게 구성해서 사용하는데 점점 욕심이 생깁니다.
그냥 음악은 아주 좋은데 비트와 베이스가 강한 음악은 뭔가 좀 부족합니다.
스피커가 이소폰일때는 앰프 하나로도 충분히 잘 울리는데 F109를 울릴 때는
비트와 베이스가 강한 음악에서는 뭔가 부족한 겁니다.
저는 음악대장의 라젠카 세이브 어스라는 음악을 잘 듣는데 좋으면서도 부족하다고 느껴져서 좀 아쉬워하면서도
그래도 이 가격에 이 정도면 훌륭하지라는 생각으로 들었습니다.
그러다 문득 모노모노를 다시 해봐? 라는 생각과 함께 좀 망설이다가 그래 까짓거 또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도전했습니다.
왜 또 해보자라는 생각을 해봤냐 하면
시스템 세팅하고 초반에 모노모노를 시험하면서 잘 듣다가 갑자기 출력이 작아지면서 출력이 잘 안나오길래 식겁하면서
모노모노 풀고 스테레오로 들었거든요. 순간 이거 둘 다 망가진건가 하는 생각으로 쫄았는데 좀 기다렸다가 다시 틀어보니
잘나와서 욕심부리지 않고 듣기로 했습니다.
그 때 일단 뭔가 잘못되었구나라는 생각은 들었지만 제가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할 엄두가 나지 않았습니다.
근데 좀 듣다보니 욕심도 생기고 모노모노로 듣는 분들도 있는데 잘못되지는 않겠지란 생각으로 검색을 했더니
아래의 링크가 나오더군요.
https://www.clien.net/service/board/kin/18483593
CLIEN
그래서 여기 정보를 보고 다시 해보기로 했습니다.
여기서는 매뉴얼상의 스피커 단자가 실제와 다른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고 바뀐게 맞는 것 같다는 의견이 있어서
사진대로 연결을 했습니다.
그리고 음악을 들었는데 오래 들어도 문제가 없어서 연결이 잘됐구나라는 생각에 안도했습니다.
근데 음악이 앰프 하나로 듣나 두개로 듣나 똑같은 겁니다.
이러면 모노모노 할 이유가 없지 하면서 실망하면서 듣다가 결정적인 문장을 보게 됩니다.
모노모노하려면 스위치를 스테레오에서 모노로 바꿔야 하나요? 라는 내용의 질문이었습니다.
이걸 보고 아 스위치를 바꿔야 하지 하면서 재빨리 바꾸고 들었습니다.
듣는 순간 바로 와!! 하는 소리가 나왔습니다.
힘이 남아 돌면서 F109를 빵빵하게 울리는 것이었습니다.
정경화의 쇼팽 야상곡과 크라이슬러 등등 바이올린 독주도 아주 힘있게 울리면서 이게 바로 바이올린이다라는 듯이
막 울려대는데 정말 감동이 오더군요.
드럼도 신나게 울리고, 현악도 날카로우면서도 힘있게 울리는데 이 정도면 충분하다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음악대장의 라젠카 세이브 어스도 여유있게 울리는데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바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은 정말 만족할 만한 가성비 최고의 조합을 가졌습니다.
지금 모노모노까지 하면서 배운것은
1. 스피커는 앰프하기 나름이다
2. 스피커가 작으면 앰프 하나면 충분하다
3. 스피커가 크면 확실히 앰프의 용량이 받쳐줘야 제대로 울린다. F109는 AIYIMA A07 MAX 로 할 경우 모노모노로 해야 좋다.
아니면 더 큰 앰프로 울려야 진가를 알게 된다.
4. 스피커와 앰프의 궁합은 이리저리 해봐야 한다.
5. 샤오미 미 TV 박스 S – AIYIMA 6A2 진공관 프리앰프 – AIYIMA A07 MAX MONO MONO – F109
아직까지는 이 조합이 왠만한 음악은 다 카바하는 가성비 최고의 조합이다.
이상입니다.
p.s. 중국에서 날라오는 프리앰프와 흡음재가 오면 4탄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8521306?od=T31&po=0&category=0&groupCd=#comment-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