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 간단 사용기

옵시디언 간단 사용기



들어가며

저 같은 경우 프리랜서로 일했기 때문에 일년에 몇번씩 새로운 자리로 이동하고 새롭게 자리를 셋팅하고 나면 지난 과거의 기억과 데이터는 사라지고 백지부터 새로운 일들이 시작 되었습니다. 그때는 지난 프로젝트의 결과물들을 저장하거나 기록하고 싶은 열망에 자료를 모았지만 이내 자리를 옮기고 나면 잊혀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보관하던 자료들도 버려지기가 일수였습니다.

때때로 일상적인 기록들을 적기 위해서 노트를 활용해 보았지만, 기록에 대한 열망보다는 게으름으로 인해서 지속성을 유지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에 개인적인 기록을 남길려고 시도도 해 봤지만 이것도 결국은 어느 디렉토리에 넣어 놓았다가 잊어버리고 지내다 컴퓨터 업그레이드가 되면 버려지는 컴퓨터와 같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가끔은 구글에 저장 해 놓은 쓸데 없는 글이 어느 순간 튀어 나와서 놀라기도 합니다.

작년에 유튜브를 통해서 우연히 옵시디언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옵시디언에 사용법과 다양한 활용에 대해서는 많은 정보들이 인터넷에 있으므로 저는 따로 이야기 하지는 않겠습니다. 이때도 노션이라는 걸 활용해 볼려고 했지만, 생각보다 진입 장벽이 느껴져서 손이 안가고 있던 상태였는데, 마침 옵시디언을 접하면서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의 활용 정도에 따라서 다른 노트 프로그램들과 같은 엄청난 잠재력을 발휘 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실제 몇달 사용 해 보니 저 같이 배우는데 게으른 사람도 많은 시간을 투자 하지 않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시간을 조금만 투자하면 많은 플러그인들이 있어서 웬만한 기능들은 플러그인들을 활용해서 무한한 확장이 가능할 것 같더군요. 현재 저는 기본적인 플러그인들만 활용하는 수준이고 조금씩 배워가고 있는 과정에 있습니다. 그래서 저처럼 간단한 기능만 활용면서 진입 장벽이 낮은 노트 프로그램을 찾아 헤매는 분이 있다면 한번쯤 시도 해 볼만한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옵시디언이란

아마 노션이나 업노트 같은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옵시디언에 대해서 들어 보셨을겁니다. 옵시디언은 후발주자이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합니다. 옵시디언은 무료 프로그램이지만 오픈소스는 아닙니다. 그래서 나중에 옵시디언의 개발이 중단되거나 지원이 끊어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 되기도 합니다.

옵시디언의 최대 장점이라고 한다면 마크다운 방식의 글쓰기 방식입니다. 마크다운은 일반 텍스트 기반에 마크다운 문법이 사용되기 때문에 굉장이 가볍습니다. 노션이나 업노트처럼 자신들만의 문법이나 꾸미기 기능이 없고 일반 텍스트 기반이기 때문에 나중에 백업과 타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 편합니다. 위에 언급된것처럼 개발이 중단되거나 지원이 중단되었을 때 다른 프로그램으로 손쉽게 넘어 갈 수 있습니다.

저장 장소를 자기가 선택할 수 있고 저는 구글의 클라우드를 사용해서 로컬과 핸드폰의 동기화 시키고 있습니다. 주로 기록은 PC에서 하고 핸드폰에서는 간략한 메모나 기록된 정보 참조하는 수준입니다. 작년 제주도 올레길 걸을 때도 필요한 정보들을 옵시디언에 담아서 가지고 다니면서 소소한 기록들을 첨부하는 수준으로 활용 했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 했지만 옵시디언은 아주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여러가지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인을 설치 해야 합니다. 기본 플러그인들과 커뮤니티에서 개발해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대부분 무료이기 때문에 설치에도 제약이 없습니다. 이 플러그인들을 활용하면 다른 노트 프로그램들(노션, 업노트 등)이 제공하는 기능들 대부분은 커버가 가능합니다.

PARA 책 소개

실제 옵시디언은 단순히 메모장 같은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이 메모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개인의 능력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개인적인 능력이나 철학이 없는 사람은 활용이라는 단어 앞에서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노트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느끼는 장벽 같은 게 있을 겁니다. 이런 막막함을 덜어내고 어떤 식의 접근을 하는게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자신만의 활용법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 방향을 제시해 주는 방법론이 티아고 포르테의 ‘Building a Second Brain’에 나오는 지식관리 방법론이라고 생각 됩니다.

이 책도 옵시디언 기능을 공부하다가 알게 되어서 읽었습니다. 대부분의 분들은 아마 책을 먼저 읽고 옵시디언 프로그램을 접하시는데 저는 꺼구로 과정을 밟았습니다.

책의 저자는 CODE 방법론을 제시 합니다. 즉 데이터를 모으고(Collecting), 분류(Organizing)하고, 정제(Distilling)하고, 표현(Expressing) 하라는 것입니다. 단순히 노트에 적고 저장만 한다면 그것은 아무런 가치를 갖지 못하지만 데이터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서 분류하고 관계를 만들어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나중에 필요할 때마다 찾아 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CODE가 데이터에 대한 철학을 제시한다면, PARA는 실제 철학을 노트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 방법입니다.

노트 디렉토리 구성을 Project, Area, Resource, Archive로 나누고 여기에 맞춰서 노트를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노트를 각 디렉토리로 이동 시킵니다. 이를 어떻게 수행하는지가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읽어 보시거나 유튜브에 올라 온 이야기들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책을 읽었지만 실제 저자가 제시하는 방식데로 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저자가 제시하는 생각의 일부를 가져 와서 저만의 노트 필기방법에 적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는 특별한 툴을 책에서 추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에버노트가 제일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고 옵시디언은 상승중에 있다고 합니다.

SCR-20240107-omyd.jpeg

마치며

디지털 시대에 자신의 지식을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가 화두가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지식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쉽게, 언제든지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데이터들을 수집하기만 하고 활용을 못한다면 결국은 자신의 디지털 공간이 디지털 쓰레기통으로 전락할 겁니다. 저의 경우처럼 우연히 구글 드라이브에서 오래전에 보관 해 두었던 기록 몇줄을 찾아내고 허탈 해 한적이 있습니다. 그 내용을 보고 내가 왜 이런 쓰잘데 없는 데이터를 저장 했는지 그리고 왜 이 디렉토리 밑에다가 두었는지도 기억나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뇌는 5가지의 일만을 기억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 자신이 집중 할 수 있는 일의 수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관심이 다른 곳으로 옮겨 가거나 중요도가 떨어진 일들은 자연히 머리 속에서 뒤로 밀려 잊혀 질 것입니다.

툴을 사용한다고 지식이 축적되거나 지식 혹은 데이터의 활용도가 늘어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툴을 사용하는 방법이 문제이고 철학이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 같습니다. 툴이란 익숙해지면서 쌓이는 데이터가 늘어날 수록 활용도가 올라 갈겁니다. 하지만 그 활용도를 뛰어 넘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이 툴의 중요한 역활인 것 같습니다. 저는 아직 저만의 데이터 활용은 못하고 있지만, 나름데로 미래의 활용을 위해서 지금은 열심히 데이터를 축적하는게 필요하다고 느껴서 열심히 데이터를 만들어 낼려고 하고 있습니다. 실제 옵시디언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PKM(Personal knowledge management)의 툴로서 옵시디언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입니다.

결국 데이터를 모아서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 것은 PARA 저자가 이야기하는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을 찾는 것이라 생각 됩니다. 제가 지금 이 사용기를 올리는 것도 아직까지 옵시디언을 모르는 분이나 시도해 보지 않으신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의미에서 올립니다.

옵시디언을 활용하는 방법이 PARA만 있는건아니고 제텔카스텐의 메모법을 이용해서 문서 관리를 하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저는 제텔카스텐의 메모법을 읽고 한번 시도 해 봤지만 저한테는 그렇게 유용한 것 같지 않고 제대로 이해하기도 힘들어서 포기 했습니다.

예전에는 클리앙에서 다른 분들이 쓴 글을 읽기만 하는 사용자의 입장이었다면, 지금은 옵시디언을 사용하면서부터 조금씩 제 생각을 정리하고 시간이 될때마다 한줄이라도 쓰기 시작하면서 글을 축적할 수 있었고 게시판에 사용기를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글을 잘 쓰거나 좋은 글을 쓰는 것은 다른 이야기지만 일단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는 수단을 하나 얻었다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도구를 얻었다고 생각됩니다.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8517111?od=T31&po=0&category=0&groupCd=#comment-point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