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투자비 4·5G 대비 더 필요···정부, 지원해야




한국통신학회 50주년 앞두고 워크샵 개최

통신사들이 6G 통신을 위한 인프라 구축비가 4·5G 대비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조했다. 다만 정책 의존적인 사업모델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타산업과의 제휴 또는 정부와의 협업모델 구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단 지적도 나왔다.

11일 한국통신학회는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관에서 ‘대한민국 통신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워크샵을 진행했다.

송철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대외협력실장은 “그간 축적해온 4G, 5G 기술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6G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한다면 글로벌 표준을 위한 국제협력 관계에서도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6G 기술이 연구개발 단계에 있는 해외 다른 국가에 기술을 수출할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선도적인 5G 상용화와 이를 통한 새로운 도약을 위해선 정부의 정책 지원을 포함한 여러 과제가 있는 것도 목도되는 현실”이라고 했다.



◇ “6G 기술, 수출 기여할 것···기술 개발 정책 지원 필요”


송 실장은 이어 “먼저 글로벌 기술 표준 개발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국가의 기업들과의 국제 협력에 대해 정부 차원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술 표준화 이후 6G 핵심 기술을 적시에 개발하기 위해선 6G 관련 고급 인력을 양성 프로그램을 포함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6G 통신망은 이전 통신망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될 것이고, 인프라 구축에 드는 투자비 또한 이전 단계의 통신망보다 훨씬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6G 통신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정책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기업간거래(B2B) 서비스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현행 통신법 외에 타 산업 관련 법률 간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정책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송 실장은 “5G 이동통신은 고속 대용량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개인에겐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종 산업과의 융합 등 B2B 영역으로 이동통신 서비스가 활용될 것이란 예측은 있었지만 아직 그 꽃이 개화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종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B2B 서비스들이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현행 통신법 외에도 타 산업들의 법률들이 조화롭게 발맞춰 나갈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와 고민을 지금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정부 지원 필요하지만···통신사 스스로도 혁신 필요”

이날 전문가들도 글로벌 ICT 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 등 통신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단 점을 강조했다.

(후략)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503483?od=T31&po=0&category=0&groupCd=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