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23일부터 카드 판매, 27일부터 이용…코레일 구간 포함
코레일 구간까지 포함해 서비스 오픈…신분당선은 이용 제한
당초 시는 새해 첫날인 내년 1월 1일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운영하는 서울지역 구간의 교통카드 시스템 개발이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1월 27일을 개시일로 정했다.
서울 시내 지하철 노선 중 코레일이 운영하는 구간은 약 20%로 이 구역만 서비스를 늦게 시작하면 시민 혼란과 불편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서울 지역 내 지하철 1∼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서울~김포공항까지 모든 지하철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신분당선은 요금체계가 달라 서울 구간 내라도 이용이 제한된다.
버스는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모두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단 경기·인천 등 타 시·도 면허 버스와 요금체계가 상이한 광역버스와 심야버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심야버스인 ‘올빼미 버스(N버스)’의 경우 요금이 2천150원이라 요금체계가 달라 포함되지 않았으나 가급적 1월27일 시작되는 시범 사업에 포함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개인성향 따른 옵션 요금제 월별로 가능…선택폭 넓혀
기후동행카드는 개인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성향에 맞춰 다양한 옵션 요금제 방식으로 운영된다.
시범사업 기간 권종은 따릉이 이용 여부에 따라 6만2천원권·6만5천원권 2종으로 출시된다.
따릉이는 교통수단 특성상 날씨가 좋은 봄, 가을 등에 이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릉이 이용이 늘 것으로 예상되는 달에는 6만5천원권을, 지하철과 버스만 이용할 경우에는 6만2천원권을 선택하면 된다.
이용요금 산정 기준에 대해 윤 실장은 “서울 시민이 대중교통을 1회 이용하는 데 평균 1천520원을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1천500원을 기준으로 잡고 출퇴근 용도로만 20회를 써도 6만원이기 때문에 무제한인 것을 감안해 6만2천원으로 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할 수 있는 확장성이 있어 시는 다양한 옵션 요금제를 지속해 개발할 방침이다.
수도권 주민 위해 서비스 지속 확대 추진
서울시는 지난달 17일 인천시와 광역버스 기후동행카드 참여 협약을 맺은 데 이어 이달 7일에는 김포시와도 김포골드라인 및 김포 광역버스 참여 협약을 맺었다.
다만 1월 27일부터 당장 인천과 김포까지 기후동행카드 서비스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시는 시범사업 기간 내 해당 지역에 서비스가 적용되도록 인천시 및 김포시와 운송손실금 분담, 시스템 변경 등 세부 실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과 김포까지 적용되는 기후동행카드의 권종과 이용 가격 등을 해당 지자체 등과 논의 중”이라며 “논의를 마치는 대로 4월께부터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에서 서울까지 장거리 출퇴근하는 주민들은 교통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시는 시범사업 기간 기후동행카드 참가를 희망하는 자치단체와 적극 협의하여 이용범위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483033?od=T31&po=0&category=0&group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