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딥마인드, 언어 모델을 활용한 수리과학 탐색 방법 ‘FunSearch’ 발표

표지



* 딥마인드 공식 – FunSearch: Making new discoveries in mathematical sciences using Large Language Models



https://deepmind.google/discover/blog/funsearch-making-new-discoveries-in-mathematical-sciences-using-large-language-models/

# 발표 일부 DeepL 번역

컴퓨터 코드로 작성된 ‘함수’를 검색함으로써, FunSearch는 LLM을 사용해 수리과학의 미해결 문제를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개념을 결합하는 데 탁월하고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읽기, 쓰기, 코딩이 가능한 유용한 보조 도구입니다.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지식을 발견할 수 있을까요?

LLM은 사실과 다른 정보를 ‘환각’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이를 사용해 검증 가능한 올바른 발견을 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최고의 아이디어만을 찾아내어 이를 바탕으로 LLM의 창의성을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오늘, Nature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새로운 해법을 찾는 방법인 FunSearch를 소개합니다. 펀서치는 컴퓨터 코드 형태로 창의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전 교육을 받은 학습자(LLM)와 환각이나 잘못된 아이디어를 방지하는 자동화된 ‘평가자’를 짝을 지어 작동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 사이를 반복적으로 오가며 초기 솔루션은 새로운 지식으로 ‘진화’합니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 코드로 작성된 “함수”(functions)를 검색하므로 FunSearch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후략]


* Nature – Mathematical discoveries from program search with large language model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3-06924-6



출처 :https://www.clien.net/service/board/news/18476511?od=T31&po=0&category=0&groupCd=

Scroll to Top